Point d'intérêt

채원병가옥

1 personne du coin recommande,

Conseils des habitants

종윤
July 26, 2021
전라북도 군산시 성산면에 있는 조선 말기 가옥. 지식백과 검색 확장영역 열기 검색검색어 삭제 검색 채원병가옥 蔡元秉家屋 두산백과 비슷한 글5 보내기 폰트 크기 설정 요약전라북도 군산시 성산면에 있는 조선 말기 가옥. 이미지 갤러리 가기 채원병가옥 안채 전북 군산시 성산면. 전북민속자료 제24호. 조선 말기 가옥. 지정종목시도민속문화재지정번호전라북도 민속문화재 제24호지정일1986년 09월 08일소재지전라북도 군산시 성산면 고봉리 134 지도시대조선종류/분류가옥 본문 1986년 9월 8일 전라북도 민속문화재 제24호로 지정되었다. 상량문의 내용에 따르면 안채의 건축연대는 1860년(철종 11)이며 사당은 1901년(고종 5)에 건축되었다. 조선 말기 이 지방 부농(富農)의 가옥이다. 먼저 큰 사랑채, 안채 및 사당을 짓고 나머지 건물들은 재산이나 가족이 늘면서 증축하였으나 지금은 안채·사랑채·사당만 남아 있다. 대지가 매우 비탈진 곳이라서 이중의 기단을 쌓았으며 북쪽을 향하였다. 대문간을 포함해 사랑채가 ㄷ자로 있고 그뒤 일자형의 안채가 있으며 1단 높은 곳에 사당이 있다. 안채는 부엌, 큰방, 대청 및 건넌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면 7칸, 측면 2칸 규모의 팔작지붕이다. 주초는 자연석을 사용하였으며, 기둥은 밑이 굵고 위가 가는 배흘림기둥을 썼다. 사랑채는 원래 안채의 동쪽에 있었는데, 구조와 형식을 바꾸지 않고 그대로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한다. 사당은 안채와 같은 북향이고, 지붕은 맞배지붕이며, 처마는 홑처마인데 전면에 두리기둥을 세웠다. 사당 안에는 감실(龕室)을 꾸미고 위패를 모셨다. 사랑채와 안채를 구별하기 위하여 화단을 꾸미고 사랑채 밖에는 수석과 소나무로 조경하였다. 건물의 규모가 큰 편이며, 툇마루가 각 방을 연결하면서 길게 이어지는 조선 말기 가옥의 특징을 지녔다.
전라북도 군산시 성산면에 있는 조선 말기 가옥. 지식백과 검색 확장영역 열기 검색검색어 삭제 검색 채원병가옥 蔡元秉家屋 두산백과 비슷한 글5 보내기 폰트 크기 설정 요약전라북도 군산시 성산면에 있는 조선 말기 가옥. 이미지 갤러리 가기 채원병가옥 안채 전북 군산시 성산면. 전북민속자료 제24호. 조선 말기 가옥. 지정종목시도민속문화재지정번호전라북도 민속문화재 제24호지정일1986년 09월 08일소재지전라북도 군산시 성산면 고봉리 134 지도시대조선종류/분류가옥 본문 1986년 9월 8일 전라북도 민속문화재…

채원병가옥 avec les Expériences Airbnb

Découvrez ce monument emblématique grâce aux expériences Airbnb, des activités en petit groupe animées par des gens du coin.
Fabriquez votre propre moju à ne pas manquer quand vous venez à Jeonju
Eunban dans le village de Jeonju Hanok
Séance photo au village de hanoks de Jeonju
Emplacement
134 Gobong-ri
Gunsan, Jeollabuk-do